Innovate With Data

데이터로 더 큰 가치를 제공합니다.

반응형

전체 글 보기 58

PLC 출력과 제어 대상의 전압이 같은데 릴레이를 쓰는 이유?

Q : PLC 출력도 DC 24V이고 제어하는 대상의 정격도 DC 24V인데 굳이 릴레이를 쓰는 이유가 있나요? 본 포스팅에서는, 얼마 전 고객사 담당자로부터 문의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였습니다. 이에, 제 생각과 경험을 녹여 이야기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잘못된 점이나 다른 의견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로 의견 부탁드립니다. 😀) Q : PLC 출력도 DC 24V이고 제어하는 대상의 정격도 DC 24V인데 굳이 릴레이를 쓰는 이유가 있나요? 앞서, 몇 차례 제어 이론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릴레이의 작동 방식과 사용 목적에 대해서 이야기했었지요. '공장 자동화/제어 이론' 카테고리의 글 목록 (datawizard.co.kr) '공장 자동화/제어 이론' 카테고리의 글 목록 현장 자동화..

Python 특정 버전 설치하기 (feat. 버전 관리 이유)

Python 최신 버전이 제일 나은 선택 아닌가?? 앞서 포스팅에서 파이썬 설치 버전과 각각의 라이브러리 혹은 패키지의 버전을 확인하는 내용을 공유하였습니다. Python 특정 버전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를 다음과 같이 예를 들었었는데요. 특정 라이브러리나 모듈이 특정 파이썬 버전과 원활하게 호환되지 않는 경우 특정 라이브러리와 연관된 (혹은 패키지로 포함된) 다른 라이브러리가 특정 버전과 호환되지 않는 경우 과거에 작성한 프로그램이 특정 버전의 파이썬이나 라이브러리 버전에서 원활히 동작하지 않는 경우 * 이전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Python 설치 버전 & 패키지 설치 버전 확인하는 방법 Python 설치 버전 & 패키지 설치 버전 확인하는 방법 최신버전이면 장땡이지, Python 특정 버전을 설치해..

Fear & Greed Index(공탐지수) Python으로 가져오기

CNN에서 제공하는 Fear & Greed Index (공포 탐욕 지수)를 가져와 자동으로 프로그래밍하고 싶었다. 미국 주식 / 채권 투자가 어느 때 보다도 유행 중인 요즘입니다.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동학개미에 빗대어 서학개미라는 신조어를 한 번쯤은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저 역시 서학개미 중에 한 명이고요. 평소 미국 주식시장의 상황을 보기 위해 CNN에서 제공하는 공포와 탐욕지수 사이트를 종종 이용하곤 했는데요. Fear and Greed Index - Investor Sentiment | CNN Fear and Greed Index - Investor Sentiment | CNN www.cnn.com (24년 3월 5일 현재 기준, 공탐지수가 80이나 기록했네요;;) 'Fear & Gree..

가스트론 Gas Detector에 Modbus 485 통신으로 연결하고 Python으로 데이터 가져오기

문제 인식 : 현장에 있는 Gastron 가스감지기 수신반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모드버스 RS-485 통신으로 연결하고 Python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싶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 블로그 방문자 께서 문의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 카테고리에는 사용자 분들의 질문에 답하는 내용 위주로 포스팅하고자 하오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 과제 : 가스트론 GTC200A 가스감지기 시스템에 Modbus RS-485 통신으로 연결한 후, Python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먼저, 해당 업체(가스트론 Gastron)의 GTC200A의 사용자 매뉴얼을 참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제조사의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비방폭형 다채널 ..

PLC 알아보자 (1) - PLC 뜻 / PLC 구조

제어를 논하면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이제야 얘기한다고??? 이전 포스팅에서 시퀀스 제어의 소개 및 유접점 제어에 이어 디지털 패널미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이야기할 내용은 최근 현장에서 제어를 논할 때 릴레이 제어와 더불어 빠질 수 없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제어에 관한 내용을 논하면서 PLC를 이제 언급한다는 게 어찌 보면 순서가 맞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 수 있을 정도이긴 합니다. 마치, 장편 대하드라마에 주인공이 한참 동안 코빼기도 비치지 않고 조연들만 나오는 것과 같은 답답한 전개와 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부터는 당분간 PLC에 대해서 ..

판넬미터 알아보자 - 패널미터 구성 / 목적 / 기능

시퀀스 제어에서 릴레이만큼 빠질 수 없는 패널미터(판넬미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시퀀스 제어를 이야기하면서 특히 유접점 제어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중간중간 패널미터에 대해서 언급하곤 하였습니다. 패널미터는 릴레이 제어뿐 아니라 PLC 제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제어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평소 그 기능과 목적 그리고 활용방법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앞서 제어 이론에 대한 내용을 참고하시면 본 포스팅이 더 유익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공장 자동화/제어 이론' 카테고리의 글 목록 '공장 자동화/제어 이론' 카테고리의 글 목록 현장 자동화 라인의 공정개선 / 유지보수 / 프로젝트 관리 업무에 도움을 드립니다. 📧 simo@datawizard.co.kr datawiza..

무접점 릴레이 알아보자 - 장단점 및 활용

릴레이에는 유접점만 있는 게 아닙니다. 지난 시간까지 총 4번의 포스팅으로 릴레이에 대한 내용 특히 유접점 릴레이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접점 릴레이와 대척점에 있는 릴레이인 무접점 릴레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접점 릴레이는 지난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공장 자동화/제어 이론] -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3) - 유접점 릴레이 상편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3) - 유접점 릴레이 상편 시퀀스 제어 중 유접점 제어에 주로 사용되는 릴레이가 뭐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의 시퀀스 제어의 개념과 세부분류에서 조금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는 내용을 이야기해 보겠습니 datawizard.co.kr [공장 자동화/제어 이론] -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4) - 유접점 릴레이..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5) - 유접점 릴레이 하편 / 릴레이 사양 확인

릴레이 하나로 언제까지 얘기하려고 하는지?? 유접점 릴레이로만 포스팅을 이어 나간지 벌써 3번째 시간입니다. 릴레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야겠다고 마음먹긴 했지만 이렇게 3편을 연달아 이야기할 거라곤 생각되지 않았습니다. 현장에서 유접점 제어에서는 당연할 것이고, PLC나 DCS 제어에서도 서로 다른 시스템을 필드버스와 같은 통신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아닌 유선 I/O (Hard-wired)로 연결하기 위해서 릴레이는 거의 필수적이고 중요한 장치이기 때문이라 생각보다 분량이 많아진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그만큼, 제어라는 생태계에서 릴레이는 주연이나 조연으로서 약방의 감초처럼 그 존재감을 발휘하는 녀석인지라 이번 포스팅을 포함하여 조금 더 얘기할 것이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 추후에 추가로 관련 내..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4) - 유접점 릴레이 중편 (a 접점 / b 접점)

a 접점? b 접점? 시퀀스 제어에서 자주 듣게 되는 접점이라는 것이 뭐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 유접점 릴레이 상편에 이어서 하편을 준비했습니다. 분량 조절 실패와 글쓰기 시간제한으로 유접점 상/하 편으로 나뉘게 된 점 독자 여러분들의 넓은 아량을 바라는 바입니다. 유접점 제어 상편은 지난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공장 자동화/제어 이론] -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3) - 유접점 릴레이 상편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3) - 유접점 릴레이 상편 시퀀스 제어 중 유접점 제어에 주로 사용되는 릴레이가 뭐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의 시퀀스 제어의 개념과 세부분류에서 조금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는 내용을 이야기해 보겠습니 datawizard.co.kr 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3) - 유접점 릴레이 상편 (릴레이 개념)

시퀀스 제어 중 유접점 제어에 주로 사용되는 릴레이가 뭐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의 시퀀스 제어의 개념과 세부분류에서 조금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는 내용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시퀀스 제어의 분류를 열거하면서 기계적 제어, 유공압 제어, 유접점 제어, 무접점 제어, PLC 제어로 제어 시스템을 나누어 보았습니다. 그중 유접점 제어는 릴레이를 주요소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기 때문에 릴레이 제어라는 용어로 불린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지난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공장 자동화/제어 이론] -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2) - 시퀀스 제어 제어에 대해서 알아보자(2) - 시퀀스 제어 적절하게 잘 제어하긴만 하면 되지? 시퀀스 제어와 피드백 제어는 또 뭔데?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오늘은..

반응형